산업통상자원부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산업통상자원부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ESG 정책

ESG 정책뉴스

  1. HOME
  2. ESG 지식허브
  3. ESG 정책
  4. ESG 정책뉴스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담당부서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록일2025-09-01

조회수79

관련링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국내우수기후기술들의 글로벌 진출활성화하기 위해 유엔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이하 CTCN*),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세계은행과 함께 ‘2591일부터 3일간 아시아 국가지정기구 (이하 NDE**) 포럼을 개최한다.

 

*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and Network) :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기술협력을 지원하는 국제기구

 

** NDE(National Designated Entity) : 기후변화 대응 분야에서 국가 간 기술지원의 협력을 제고하기 위한 나라별 소통 창구로, 한국의 NDE는 과기정통부

 

NDE 포럼개발도상국들과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결정 및 지침공유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는 국제 행사,

 

포럼 1일차에는 기후기술 메커니즘 이행 방향 최신 동향 공유하고, 단기(20262027) 및 중장기(20282032) CTCN 기술지원 계획 에 대하여 각국 의견 청취한다.

 

2일차에는 월드뱅크, GCF(Green Climate Fund, 녹색기후기금), KOICA, ADB(아시아 개발 은행), KDB(한국산업은행) 재정기관들이 기후기술 지원방식, 재원 조달체계 등을 발표하며, 기후기술 재정기관 연계 전략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된다.

 

특히, 3일차에는 우리나라의 기후기술 보유 기업들이 아시아 20개국*에 우수 기후기술들을 소개하고 기술효율적인 현지 적용 실증 방안모색예정이다.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몽골, 라오스,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카자흐스탄, 키르키즈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요르단, 팔레스타인, 이라크, 이스라엘

 

소개되는 기후기술은 AI 기반기후·환경 관리시스템(디아이랩) 실시간 유역 관리 시스템(유역통합관리연구원), 일사량에 맞춰 각도 조절되는 태양광 패널(엔벨롭스)폐기물 자동선별 시스템(에이트테크) 4개기술이다.

 

기정통부CTCN, 재정기관 등과 협력체계 구축하고 소개된 기술들과 더불어 개도국 현지 적용이 가능한 우수한 기후기술들을 발굴하여, 이러한 기술들이 개도국진출하고 ODA 사업으로 발전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예정.

 

CTCN Ariesta Ningrum(아리에스타 닝그룸) 국장 우리목표 단순히 기술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신뢰와 지식, 그리고 지역 리더십 구축하는 데 있다.”라고 밝혔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다른 국가들이 한국의 경험 벤치마킹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말하며,

 

이번 포럼을 통해 여러국가들과 그간의 경험공유하면서 기후테크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이 한층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8.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목록으로